사진=연합뉴스
고액자산가들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달러보험이 연령과 성별에 관계 없이 폭넓게 관심을 받고 있다. 달러보험은 보험료를 달러로 내고, 보험금도 달러로 받는 상품이다. 조기상 메트라이프생명 상품담당 상무는 “2~3년 전만 해도 달러보험은 일시납의 저축성·연금보험이 대다수여서 주로 달러를 보유한 자산가들이 가입했다”며 “최근에는 목돈이 없어도 다달이 납부하는 종신보험 등이 주력상품으로 떠올랐다”고 설명했다.
달러보험은 보험료 납입과 보험료 지급이 미국 화폐로 이뤄진다는 것 외에는 기존 보험상품과 본질적인 차이는 없다. 원화 대신 달러로 보험을 들면 무엇이 좋은 걸까. 조 상무는 “원화에 집중된 자산 포트폴리오(상품 구성)를 기축통화인 달러로 다변화하면 리스크(위험)를 분산할 수 있다”고 했다. 또 “글로벌 경제 환경에서 해외여행, 유학, 이민 등 미래의 달러 수요를 미리 준비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라고 소개했다.
달러보험은 종신, 변액, 연금, 저축보험 등 다양한 유형이 있지만 보험사들은 가격이 비싼 ‘달러 종신보험’을 주력으로 미는 추세다. 업계 관계자는 “요즘 젊은 층은 여행이나 직구(직접 구매) 경험이 많아 달러로 보험을 드는 데에도 크게 망설임이 없는 것 같다”고 했다. ‘동학개미운동’을 계기로 주식, 환율, 재테크 등을 두루 공부하다 달러보험에 눈을 뜨기도 한다는 설명이다.
달러를 기반으로 한 거래인 만큼 ‘환율 리스크’를 피할 수 없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보험료 납입과 보험료 지급을 모두 달러화로 할 경우, 환율에 따라 소비자 득실이 달라진다. 보험료를 내는 기간 중 환율이 상승하면 가입자의 보험료 부담이 확대되고, 보험금을 타는 시점에 환율이 하락하면 보험금의 원화가치가 하락하게 된다. 보험연구원 관계자는 “달러보험은 상품 구조가 다소 복잡하고 환차손 가능성도 있어 상품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가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최근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하면 달러 약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지금 달러보험 들어도 괜찮은 걸까. 조기상 상무는 “달러보험의 월납 상품의 경우 장기간에 걸쳐 보험료를 분산 납입하는 만큼 단기적인 환율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할 필요는 없다”고 조언했다. 약달러 추세에서는 ‘추가 납입’ 기능을 활용해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으로 달러 보유 비율을 높일 수도 있다고 했다.
해외 금리 수준에 따라서도 만기 보험금 등이 변동될 수 있다. 보험사는 향후 발생할 보험금 지급 등에 대비해 납입 보험료의 일부를 준비금으로 적립하는데, 이 때 보험료에 부과하는 적립이율의 구조에 따라 ‘금리연동형’과 ‘금리확정형’으로 나눈다. 외화보험 중 금리연동형 상품은 투자대상 해외채권의 수익률을 반영해 주기적으로 적립이율이 바뀌기 때문에 만기 보험금의 규모가 달라질 수 있다.
김종태 팀장은 “달러보험은 환차익을 목적으로 하는 단기상품이 아니다”며 “보험 본연의 기능인 ‘보장’과 함께 개인자산가치의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포트폴리오 구축 차원에서 활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했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https://ift.tt/3mMo4FH
비즈니스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월 24만원씩 모아 1억 벌자"…'달러보험' 뭐길래 - 한국경제"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