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총괄조정관은 2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서울 성북구 소재 사랑제일교회, 광복절 집회 등의 확진자로부터 직장, 의료기관, 다른 종교시설 등으로 추가 전파된 사례들이 확인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경로를 확인하지 못한 집단감염이 다수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사랑제일교회 관련 19일 오후 6시 기준 총 3263명을 검사하였고, 확진된 분이 62명으로 늘어 누적 확진자는 630명”이라며 “사랑제일교회와 관련하여 추가 환자가 발생한 시설은 11개소이며 확진자가 근무하는 직장까지 포함하면 114곳의 시설에서 추가 전파의 위험성이 있어 이를 막기 위한 집중적인 방역 관리가 요구된다. 정부는 이들 시설에 대해 시설별 전담관리자를 지정하고 시설별 방역관리 계획을 마련하여 시행토록 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김 1총괄조정관은 “심층 역학조사를 통해 교인과 교회 방문자 명단을 추가로 확보하고 있으나 연락처가 확인되지 않거나 검사를 거부하는 사람이 700여 명이 있다”며 “경찰, 이동통신사 등의 협조를 통해 연락처를 확보하고 이들에게 신속히 진단검사를 받을 것을 독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15일 광화문 집회와 관련해서는 “이날 정오 기준으로 총 53명의 관련 확진자가 확인되었다”며 “사랑제일교회 관련 확진자가 33명이고 이외에 집회장소에 체류한 것으로 일차적으로 확인된 확진자가 20명이다. 이들 환자가 총 9개의 시도 지역에 걸쳐 전국적으로 분포되고 있다는 점, 또 60대 이상의 고위험군 비율이 약 70%에 달하고 있다는 점에서 크게 우려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집회 참석자를 확인하기 위해 집회 당시 광화문 인근의 기지국 정보를 활용하고 행사 주최 측에 참석자 정보를 요청하는 한편, 대절 버스 탑승명단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본인 스스로와 가족, 친지의 안전을 위하여 신속한 검사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사랑제일교회 방문자분들과 서울에서의 집회 참석자들은 즉시 가까운 선별진료소를 찾아 검사받기를 다시 한번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김 1총괄조정관은 “수도권 일부 교회에서 시작한 집단감염이 가족과 직장, 다중이용시설 등으로 계속 확산하는 상황”이라며 “광화문 집회에 확진자의 참석과 추가전파가 확인됨에 따라 지역사회에 가져올 여파가 어느 수준일지 예측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이 아니면 막을 수 없다는 절체절명의 위기의식을 가지고 감염확산의 저지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수도권의 감염위험은 현재 어느 때보다 높다는 것이 명확하다. 이번 주까지의 대응이 향후 전국적인 대유행으로의 확산 여부를 결정한다는 점을 잊지 말아달라”고 당부했다.
다만, 정부는 현재 수도권에 대해 거리두기를 3단계로 격상하는 방안은 논의하고 있지 않다고 했다. 김 1총괄조정관은 “단계별 기준을 설정했는데 (수도권 유행은) 아직 3단계 요건을 충족하지 않은 상황”이라며 “엄중한 상황을 염두에 두고 전파의 양태나 확진자 분포 등을 내부적으로 늘 분석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방역 당국으로서는 늘 보다 강력한 수단을 채택하고 싶은 유혹에 빠질 수밖에 없지만, (현재도) 2단계의 조치를 시행하면서도 나타나는 여러 가지 현장에서의 어려움이 있다”며 “이 균형점을 찾는 것이 매우 어려운 숙제”라고 토로했다.
거리두기 3단계 격상은 ‘2주 평균 일일 확진자 수 100∼200명 이상’, ‘일일 확진자 수가 2배로 증가하는 현상(더블링)이 일주일에 2번 이상 발생’ 등의 기준과 함께 의료 역량, 사회·경제적 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따져 결정된다.정부는 최근 모바일 메신저 등에서는 서울시가 거리두기를 3단계로 격상한다는 허위정보가 유포돼 혼란이 빚어진 데 대해선 엄정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장연제 동아닷컴 기자 jeje@donga.com
August 20, 2020 at 11:03AM
https://ift.tt/321DZ9W
정부 “언제든지 전국 대유행 가능…거리두기 3단계는 아직” - 동아일보
https://ift.tt/2YusI0a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정부 “언제든지 전국 대유행 가능…거리두기 3단계는 아직” - 동아일보"
Post a Comment